본문 바로가기
교육학/교육과정

교육목표의 설정

by EngJen 2023. 9. 24.
반응형

[1] 교육목표의 설정 

 

(1)  교육목표 (교육목적)의 기능

1. 교육활동의 방향 제시

: 교육목표는 교육활동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주며, 교육목표가 제시하는 방향에 맞추어 후속적인 교육활동이 전개된다

2.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 교수-학습지도 및 생활지도의 기준 제시

: 교육내용을 선정, 조직하는 데 있어서 그 기준은 어디까지나 교육목표이다. 교육목표왐 ㅜ과난 교육내용을 선정, 조직할 경우 목적 없는 활동이 된다. 또한 교육목표는 교수-학습지도와 생활지도의 적정한 기준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3. 교육평가의 기준 제시

: 수업이 끝난 뒤 학생들의 도착점행동을 확인하는 평가를 실시하는데, 이때의 평가기준은 이미 설정된 교육목표가 된다. 특히 절대평가에서는 교육목표가 평가의 준거가 된다

4. 교육활동의 통제

: 교육목표가 교육의 전과정에 방향을 제시하므로 여기에 어긋한 교육활동은 규제됨으로써 전반적인 교육활동이 효과적으로 실천되도록 유도한다. 

 

(2) 교육목표 진술의 근거 (기준, 일반원리)

1. 구체성

: 교육목표는 교육내용의 선정, 조직, 및 교육평가에 실질지거인 시사를 줄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명료한 행동용어로 진술되어야 한다

2. 포괄성

: 교육의 궁극적 목적이 전인육성인 만큼 교육목표는 학습자의 사소한 행동이 아니라 폭넓은 행동특성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3. 일관성

: 설정된 목표들은 서로 논리적 모순이 없고 철학적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목표설정은 논리적으로 조직화된 응집성을 견지하여야 하며, 주기적으로 재검토될 수 있어야 한다

4. 실현가능성

: 교육목표는 교육활동을 통해 실현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학습자 개개인의 능력과 수준에 맞아야 할 뿐만 아니라 학교나 학급의 객관적 상황도 고려해야 한다.

5. 주체의 내면화

: 교육목표는 모든 교직원들의 행위 속에 받아들여져 내면화되어야 한다. 교육목표를 교직원의 행위 속에 내면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ㄱ) 교육목표 설정의 책임을 교직원들의 협동적 작업에 맡기는 일, (ㄴ) 내용선정과 조직 및 학습활동의 구상을 공동으로 연구하고 작업하는 일, (ㄷ) 정기적으로 혹은 수시로 교육목표의 재확인, 수정, 보완을 위한 교직원협의회를 가지는 일을 들 수 있다

6. 적합성

: 학생과 사회의 요구와 맥락에 적절해야 한다. 교육목표는 인간의 기본욕구를 충족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학교가 속해있는 사회의 요구도 고려해야 한다

7. 가변성

: 교육목표는 필요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어야 한다. 교육목표는 교육내용의 선정, 조직과 교수-학습 및 생활지도, 교육평가 등과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하므로 그 타당성이 교육의 전 과정에 걸쳐 항상 재검토되고 필요에 따라 변화되어야 한다. 

8. 타당성

: 학습자의 현재의 삶이나 미래의 삶에 가치 있는 필수적인 것이어야 한다. 

 

 

 

출처: 권지수 교육학 

반응형

'교육학 >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목표 분류  (2) 2023.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