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임용원서/Transformational Grammar

pp. 50-59

by EngJen 2023. 6. 26.
반응형
  1. sentence well-formedness에 대한 판단 근거: phonology, morphology, syntax, semantics
  2. native가 갖고 있는 structural intuition의 2가지 종류= constituents & category
  3. Constituent= larger structural units/ a single structural unit
  4. Tree diagram: constituent structure을 diagrammatic form으로 표현한 것
  5. node: tree의 each point -> constituent 지칭 (syntactic unit)
  6. node는 individual words뿐만 아니라 phrase도 지칭 (e.g. [this boy], [that girl])
  7. tree diagram: constituent structure은 알 수 있지만, constituent of the same type은 알 수 없다
  8. 즉 tree diagram으로는 category를 알 수 없음
  9. 즉, boy- noun, the-determiner, appear-verb, may-modal, from-preposition, really-adverb, kind-adjective
  10. words가 category에 속할 수 있는 것 처럼, phrase도 category에 속할 수 있음
  11. 예를 들면, [this boy]와 [that girl]은 같은 종류의 phrase이다. 그리고 이 phrase의 head는 noun.
  12. [this boy]-Noun phrase, [incredibly stupid]-Adjectival phrase, [to the girl]-Prepositional phrase, [close the door]-Verb phrase, [This boy must seem incredibly stupid to that girl]-Clause or Sentence
  13. Labelled tree diagram: category label을 tree diagram에 포함시키기
  14. (1)그림은 constituent phrase로 구성되어 있지만, (3) 그림은 phrase structure을 보여준다
  15. Phrase marker: labelled tree diagram은 phrase marker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왜냐하면 P-marker은 word->phrase->sentence로 가는 위계적인 그룹핑을 보여주기 때문
  16. P-marker은 추상적인 syntactcial structure을 시각적으로 표현해준다.
  17. labelled tree diagram (P-marker)로 나타내는 방법 말고도, labelled bracketing방법도 있다
  18. tree-diagram이 읽기 편해서, 언어학자들이 더 선호
  19. partial P-marker은 internal structure은 생략하는 것-> 그래서 triangle 폼으로 취함
  20. labelled tree diagram이나 labelled bracketing이나 논리적으로 똑같음

정리하자면

  1. Sentence는 hierarchial constituent structure을 가지고 있다
  2. sound->word->phrase->sentence
  3. 각각의 constituent (word/phrase)는 syntactic category에 속한다
  4. sentence는 sets of constituent로 구성이 되는데, 이는 categorial constituent structure
  5. 이러한 categorial constituent structure을 Phrase-marker (labelled tree-diagram)이나 labelled bracketing으로 표현 가능하다
  6. sentence은 categorial constituent structure을 가지고 있어서, word-level categories와 더 넘어서 phrase-level categories를 살펴볼 것

2.3 Word level categories

word는 다양한 categories에 속할 수 있음

(e.g. noun, verb, adverb)

근거 (1) phonological

-We need to inCREASE productivity

-We need an INcrease in productivity

여기서 두 번째 음절에 primary stress가 가면 verb/ 첫 번째 음절에 primary stress가 가면 noun.

이처럼 phonological rules는 categorial information을 제시한다

근거 (2) semantic

언어의 ambiguity 활용 가능

ambiguity는 lexical ambiguity와 structural ambiguity로 구분 가능하다

lexical ambiguity는 특정한 word가 2개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어 발생하는 것이다

(ball은 round object used for playing games의미랑 dance라는 의미 둘 다 가짐)

structural ambiguity는 strucutral 때문에 발생

-Mistrust wounds

=Suspicion wounds (Noun+Verb) (불신이 상처를 입힌다)

=Mistrust sores (Verb+Noun) (상처를 믿지 마라)

category는 semantic properties로 정의될 수 있다

-verbs: actions

-nouns: entities

-adjectives: states

-adverb: manner in which somethiing is done

-preposition: location

-determiner: specify

하지만 이런 규정은 애매하고 unreliable 한데,

그 이유는 'assassination'은 action을 의미하지만, noun이기 때문

근거 (3) Morphological

inflection을 예로 들 수 있음

inflection의 종류에 따라 category가 나뉜다

4가지의 different inflection= the present tense '-s', past tense '-d', participle '-n', gerund '-ing')

하지만 이는 동사의 irregularity로 복잡해진다.

많은 동사들은 실제로 irregular past / participle form을 지닌다

그래서 하나의 형태가 두 가지 기능을 할 때도 있다 (met은 과거형이면서 과거분사)

be동사는 게다가 8가지의 다른 형태도 있어서,,, 더 복잡

그리고 일명 modal로불리는 것은

verb와 구분된다

왜냐하면 modal은 participle이나 gerund형태를 취할 수 없기 때문

can-could-*cans-*cannen-*canning

즉, verb와 modals의 구분은 morphological 배경으로 설명 가능

adjectives과 adverb를 구분할 때에도, morphological 기준 사용 가능

바로 comparative form이다

adjective는 comparative form 인 '-er'가능

adverb는 '-ly' inflection 붙음

물론 fast, hard와 같이

irregular 하는 adverb도 있음

noun과 adjective도 morphological 이유로 구분 가능

noun 은 plural inflection가능

adjective는 안된다

(idiots/ *idiotics)

prepositons은 invariable이어서, inflection불가

 

 

Source: Transformational Grammar by Andrew Radford

 

반응형

'영어임용원서 > Transformational Gramm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pp. 100-113  (0) 2023.06.26
pp. 90-99  (0) 2023.06.26
pp. 80-89  (0) 2023.06.26
pp. 70-79  (0) 2023.06.26
pp. 60-69  (0) 2023.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