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임용원서/Transformational Grammar

pp. 274-291

by EngJen 2023. 6. 27.
반응형
  1. similar parametric variation이 있다
  2. 첫 번째: specifier는 그 수식 대상 before/ after에 온다
  3. 두 번째: Attributes/ Adjunct는 그 수식 대상 before/ after에 온다
  4. English는 head-first이고 specifier-last인 언어이다
  5. 그런데, 예외적인 상황이 있다
  6. (예시) herein (Complement+Head Preposion) ----head가 뒤에 있음
  7. (예시) John and Mary both (Nominal+Specifier) ---- spec이 뒤에 있음
  8. 이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Theory of Markedness
  9. 즉, 이는 unmarked word-order은 head-first이고 specifier-first인 것이다
  10. 그리고 marked construction은 head-last와 specifier-last인 구조이다
  11. Spcifier-last구조에는 많은 제약들이 따른다
  12. 첫 번째 제약은 lexical restriction이다
  13. determiner는 nominal 뒤에 올 수 없다.
  14. (예시) my new car/ *new car my
  15. 또한 이는 stylistically marked 하기도 하다
  16. (예시) John and Mary both같은 것은 구어체이다. 문어체가 아니다
  17. 두 번째 제약은 syntactic restriction이다
  18. locative Pronoun (there, here, where)은 Prepositon의 preceding Complement로 작용한다.
  19. (예시) herein/ *London from
  20. 또한, 이는 lexical적으로도 제약이 있다
  21. 즉, preposition의 종류가 되는 게 안 되는 게 있다.
  22. (예시) thereby, therein, thereto/ *thereinside, *therebehind
  23. <<결론>> in there은 productive한 통사론적인 구조이지만, therein 은 이제 이제 흔적만 남은 구조인 것이다
  24. head-first/ head-last 등등 이런 순서에 대해서 category-neutral하게 만드는 방법 없을까?
  25. (예시 1) X' -> X YP(*) (Head-first Complement Rule)
  26. (예시 2) X' -> YP(*) X (Head-last Complement Rule)
  27. 이 두가지 rule에 X에는 V를, Y에는 N을 넣어 봄자
  28. 그러면 이 두 구조는 다른 구조이긴 해도, 공통점으로 V-bar 아래에 V와 NP가 있다는 점이 같게 된다
  29. 하지만, 이 각각의 구조를 common core 하나로 합치지 못하는 아쉬움은 남아있다
  30.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two different functions of Categorial relations를 구분하는 것이 있다
  31. 첫 번째는 Defining constituency relations이고, 두 번째는 Defining linear ordering relations이다
  32. 이와 관련해서 우리가 제시할 수 있는 바는 Universal Grammar는 universal Constituency Rules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Constituency Rule으 성분의 무질서한 체계를 구성한다
  33. (rule 1) X''->X', (YP) (Specifier Rule)
  34. (rule 2) X'->X', YP (Adjunct Rule)
  35. (rule 3) X' -> X, YP(*) (Complement Rule)
  36. 윗 rule들은 universal order free rules이다. 즉, linear ordering on constituents를 지니고 있는 것이 아니다---> metagrammatical
  37. particular grammar은 specific linearisation을 겹쳐놓는다 (이는 unordered universal schema위에 말이다)
  38. 이 같은는 2가지의 하위분야로 나뉠 수 있다
  39. 첫 번째: a set of Constituency Rules which define the immedaite dominance relations between constituents
  40. 두 번째: a set of Linearisation Rules which define the immediate precedence (word-order) relations between constituents
  41. 전문적인 장치들은 이렇게 문제를 다룬다고들 하지만, 언어들 간의 parameters의 변이 중 하나는 linear ordering parameter이다
  42. 하지만 최근 연구는 위계적 복잡성에 따라 언어들 사이에 variation이 있다는 것이다
  43. 예를 들어, 영어는 최대 2의 level-variable을 갖고, 일본어는 1이다. 즉, 일본어가 영어보다 더 평평한 구조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44. 이러한 점은 word-order 차이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45. 이렇게 되면서, 우리는 영어에서만 (일본어에서는 아님) Specifier와 Complement를 configurational terms (즉, dominance relations)으로 구분 가능하다
  46. 왜냐하면, Specifier나 Complement 봤을 때, 위계적인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47. 즉, 우리는 영어는 configurational 하고, 일본어는 nonconfigurational 하다고 볼 수 있다

CH.6 Clauses

  1. 우선 finite & nonfinite Clauses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2. 이 두 절의 구분점은 morphological criteria에 있다
  3. finite clause는 finite Verb를 지니고 있다 (이는 Tense/Agreement를 겪음)
  4. nonfinite clause는 nonfinite verb를 지닌다 (tenselss/ agreementless)
  5. Tense로 보았을 때, 이는 present/ past로 나누어진다
  6. 'I hate'나 'she hates'와 같은 문장을 봤을 때, Present Tense -(e) s inflection은 Tense/ Agreement모두 나타냄
  7. Past tense도 tense만 있는 것 같지만, 사실은 agreement도 다 반영된 것이다
  8. <<결론>> all Past Tense forms are marked for Agreement, but that this Agreement is overtly marked in the case of irregular Verbs, and covertly marked in the case of regular Verbs
  9. nonfinite verb는 tense나 agreement로 inflected 된 동사형태가 아니다
  10. nonfinite vebr에는 3가지 종류가 있다=== uninflected infinitive forms/ gerund/ participle
  11. 그런데, 현재형 동사에는 inflection이 붙지도 않고, 복수형태의 finite동사에도 inflection 붙지도 않아서,,,,그러면 우리는 이러한 동사들은 finite이든 nonfinite이든 overt inflection이 안 붙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
  12. (예시 1) I know [that you hate Syntax]
  13. (예시 2) I'd never known [you hate anythinga as much as Syntax]
  14. 위 예시들에서 hate는 finite이냐 아니냐?
  15. 이에 대한 방법들을 소개하겠다
  16. 방법 1= 주어 you를 thrid person으로 바꾸기
  17. 방법 2= 동사를 과거형으로 만들어 보기
  18. 방법 3= Modal Auxiliaries를 활용하기
  19. modal은 nonfinite forms를 지니고 있지 않아서, 본질적으로 finite 하다
  20. inflected Verb 나 Auxiliary를 갖고 있다 -> finite clause
  21. 하지만 finite clause라고 해서, inflected verb나 aux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22. finite Clasue인 (1) indicative clasues와 (2) subjunctive clause를 보자
  23. (1) I know [that you leave for Hawaii tomorrow]
  24. (2) I demand [that you leave for Hawaii tomorrow]
  25. 위 두 문장 모두 finite 하다
  26. 하지만 이 두 문장 사이에는 morphological difference가 존재한다
  27. (예시) I know [that John leaves/*leave for Hawaii tomorrow]
  28. (예시) I demand [that John leave/ *leaves for Hawaii tomorrow]
  29. 즉, indicative Clause에서 동사는 변할 수 있고, subjunctive Clause에서 동사는 변할 수 없다
  30. <<질문>> Subjunctive Clause의 동사는 변할 수도 없으면서 왜 finite인가?
  31. 이는 universalist ground와 particularist ground로 설명 가능하다
  32. 첫 번째 증거= Universalist grounds
  33. subjunctive clause는 사실 inflected 될 수 있다----예시) 스페인어
  34. 두 번째 증거= particularist ground
  35. subjunctive clause는 indicative clause와 많은 morphosyntactic 성질을 공유한다
  36. 공유 성질 (1)= indicative와 subjunctive 모두 주어가 필요하다
  37. (예시) * I know [that leaves for Hawaii tomorrow]---indicative
  38. (예시) * I demand [that leave for Hawaii tomorrow]---subjunctive
  39. (예시) I intend [to leave for Hawaii tomorrow]---infinitive
  40. (예시) I intend [leaving for Hawaii tomorrow]---gerund
  41. 공유 성질 (2)= 주어에 case-marking

 

 

Source: Transformational Grammar by Andrew Radford

반응형

'영어임용원서 > Transformational Gramm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pp. 302-311  (0) 2023.06.27
pp. 292-301  (0) 2023.06.27
pp. 264-273  (0) 2023.06.27
pp. 254-263  (0) 2023.06.27
pp. 244-253  (0) 2023.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