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임용원서/Transformational Grammar

pp. 436-445

by EngJen 2023. 6. 28.
반응형
  1. NP movement는 Raising에서도 일어난다
  2. (예시 1) John seems to me [--- to be unhappy]
  3. 윗 예시는 (예시 2) It seems to me [tat John is unhappy]로도 쓸 수 있다
  4. 하지만 이 두 문장은 identical 하지 않다
  5. (예시 1)은 nonfinite하다. infinitive Complement를 취한다. (S status)
  6. (예시 2)는 finite하다. finite Complement를 취한다 (S-bar status)
  7. seem동사의 Infinitive Complement는 overt Complementiser로 도입될 수 없기 때문에-> S를 취한다고 볼 수 있다
  8. (예시) *It seems to me [for John to be unhappy]
  9. (예시) *John seems to me [for to be unhappy]

  1. 이러한 가정에 기반하였을 때, 'John seems to me to unhappy'라를 문장에서 'John'은 movement를 겪은 것이다
  2. 즉, 'John' originates as the Subject of the embedded S Complement, and is subsequently 'raised' by application of Np movement to become the superficial Subject of the main Clause
  3. John이 embedded S Complement의 주어였다가, NP movement를 겪고, main Clause의 subject가 된 것이다

  1. 다음은 John이 to be happy의 주어였다는 증거를 보여주겠다
  2. 증거 1= interpretation of Reflexives
  3. Reflexives는 clausemate antecedent를 요구한다
  4. (예시) John considers [S Fred to be too sure of himself]
  5. 이때, himself는 Fred로 해석되지, John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6. 우리는 주어가 아닌 reflexives가 항상 자신의 S 안에서 antecedent를 찾아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7. (예시) John seems to me [S --- to have perjured himself]
  8. 그렇다면 윗 문장은 어케 정문인가?
  9. 윗 문장에서 himself는 John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우리는 Reflexives가 clausemate antecedent를 찾아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는데.... himself와 John은 same S에 있지 아니하다
  10. 이는 Subject Raising으로 설명 가능하다
  11. 즉, John originates as the underlying Subject of the perjured-clause
  12. <<결론>> A Reflexive can be construed with a compatible sometime clausemate NP
  13. 그러므로 우리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할 수 있다: 'John' is contained within the same S as the Reflexvies 'himself' in the D-structure, the 'sometime clausemate' condition would correctly predict that 'John' can be interpreted as the antecedent of the Relfexive 'himself'

  1. (예시) John seems to himself [S ---- to be invincible]
  2. 윗 문장에서도 'sometime clausemate' 조건이 충족될 수 있다
  3. 이유) although 'John' and 'himself' are not clausemate at D-strcucture, they become clausemates at S-structure,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NP movement

  1. (예시) John seems to me [S ---- to have perjured himself]
  2. 이 문장을 하나의 S로 생각하자는 말이 있다
  3. 하지만 이는 틀렸다
  4. 하나의 S로 생각한다면, himself는 John뿐만 아니라, me하고도 같은 절에 있게 된다

  1. (예시) * John seems to me [to have deceived myself]
  2. 이 문장에서 myself는 me로 해석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러하지 않다
  3. ---> (이유) 'myself' and 'me' are in different Clause
  4. 하지만 이 둘이 다른 Clause에 있다고 한다면, 'John seems to me [S ---- to have perjured himself]' 문장에서 himself의 antecedent가 어떻게 John이 될 수 있는가? (Reflexives가 sometime clausemate antecedent를 요구한다는 것을 인지하면서)
  5. ----> (답) NP movement

  1. 증거 2= Agreement
  2. 일반적으로 얘기해서 Predicate Nominal은 자신의 절 안에 있는 Subject의 number와 일치하게 된다
  3. (예시) They consider [S John to be a fool/ *fools]
  4. 윗 문장에서 John에 수일치해서 a fool이 맞다 (they랑 수일치 안 함)
  5. (예시) They seem to me [S ---- to be fools/ *a fool]
  6. fools는 they와 수일 치를 하고 있다
  7. S-structure 상에서 둘이 다른 Clause에 있는데, 이게 어떻게 가능?
  8. ---> NP movement로 설명 가능
  9. 즉, S 절의 ----위치에서 파생되었다가, 이때 Predicate Nominal과 수일치 한다 ---> 그러고 나서, NP movement를 통해 main Clsue Subject가 되는 것이다

  1. 그런데 자세히 살펴보면, 이는 embedded infinitival S-bar complements with PRO subject를 갖고 있는 문장과 양립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여기서 PRO는 main Clause subject와 coreferential 하다
  3. (예시) I am anxious to finish the assignment
  4. 이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I am anxious [C PRO to finish the assignment]
  5. 여기서 C는 empty Complementizer이고/ PRO는 main Clause Subject의 I로 controlled 되는 empty pronominal NP Subject이다
  6. 그래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I am anxious that I should finish the assignment

  1. 그렇다면 왜 seem동사를 control 동사로 생각하지 못하는 건가?
  2. John seems to me to be a traitor to himself라는 문장을
  3. John seems to me [C PRO to be a traitor to himself]라고 생각할 수 없는가?
  4. ---> (이유) ★★★ PRO can occur onlyh as the Subject of an S-bar Complement, not as the Subject of an S Complement★★★
  5. (예시) *John considers [S PRO to be intelligent]
  6. seem동사는 S를 취하고 + PRO는 S-bar에서만 일어날 수 있으므로 ===> Seem동사의 infinitival Complement는 PRO subject를 취할 수 없다

  1. seem동사가 control동사이기보다는 raising동사인 증거를 들겠다
  2. 증거 1= Pleonastic Pronouns
  3. pleonastic 'there'은 reference가 없다. 그래서 이 there을 받아서 질문 형식으로 할 수가 없다
  4. (예시) There's someone at the door-> *Where's someone at the door?
  5. Pleonastic 'there'은 reference가 없기 때문에, there은 PRO를 control 할 수가 없다
  6. (예시) You can't be kind without [PRO being cruel first]
  7. (예시) *There can't be peace without [PRO being war first]

  1. 이러한 existential 'there'은 existential Predicate와 함께 한다
  2. existential Predicate= exist, be, occur, arise. take place
  3. (예시) There was/arose/occurred an unfortunate incident
  4. 얘네들은 다른 동사의 subejct나 complement가 될 수가 없다
  5. (예시) * I don't want to talk about there
  6. (예시) *There hurt me

  1. 이렇게 Pleonastic 'there'이 non-referential 하고 existential Predicate의 주어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생각하고, 다음의 문장을 살펴보아라
  2. (예시) There seems to have been/*seen an accident
  3. 이 문장을 control문장으로 분석하면, There seems [PRO to have been/*seen an accident]
  4. 하지만 이렇게 control로 분석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5. 한계 1= there은 PRO의 controller가 될 수 없다
  6. 한 게 2= there은 existential Predicate의 주어로 기능한다
  7. 한계 3= embedded VP의 head가 been일 때만 정문이 된다는 근거가 없다

  1. 하지만 Subject Raising analysis는?
  2. (과정) 'there' originates as the Subject of the embedded S, and is subsequently 'raised' to become the main Clause SUbject by application of NP movement
  3. 이렇게 raising으로 하면 control의 3가지 문제 다 해결 가능
  4. 해결 1= control 문장이 아니어서 PRO가 있을 필요도 없고
  5. 해결 2= existence Predicate인 been의 주어로 기능할 수도 있고
  6. 해결 3= been은 existence 동사이고, seen은 아니기 때문에, been과 seen의 차이점을 설명 가능

  1. 더욱이, Control 동사는 there을 주어로 두지 않는다
  2. (예시) * There is anxious to be an accident

  1. 증거 2= Idiom Chunk (seem이 raising동사인 이유)
  2. Subject Idiom Chunks의 예시: The cat is out of the bag/ The cat has got his tongue/ The fur will fly
  3. the cat은 'be out of the bag'랑 같이 있을 때만 idiom의미를 유지한다
  4. (예시) The cat seems [S ---- to be out of the bag]
  5. 여기서 the cat은 'the secret'의미를 유지하고 + 'be out of the bag'의 주어로만 있어야 된다는 사실을 기반하면 ---> 'the cat'은 must originate as the underlying Subject of 'to be out of the bag' and subsequently be raised up to become the main Clause Subject

  1. 하지만 이렇게 Control predicates일 때는 Idiom Chunk Subject를 유지하지 못한다
  2. (예시) *The cat is anxious [C PRO to be out of the bag]
  3. 여기서는 the cat이 anxious의 주어에서 originate 되는 것이다. 이는 숙어 제약을 꺠뜨린다
  4. 이렇게 non-idiomatic use에서는 NP [the cat]은 anxious의 주어가 된다

  1. 증거 3= semantic properties
  2. 예를 들어, Raising Predicate은 truth-functional equivalence under passivisation 유지한다
  3. 즉, 수동태를 만들어도 raising 동사는 의미를 유지한다는 것
  4. (예시) The doctor seems to have examined John === John seems to have been examined by the doctor
  5. 하지만 control구문은 그러하지 않다
  6. (예시) The doctor is anxious to examine John =/= John is anxious to be examined by the doctor

  1. 또 Control Predicate은 superficial Subject에게 selection restriction을 부여한다
  2. 예를 들어, anxious는 주어에 theta-role 'Experiencer'를 부여한다
  3. (예시) John/! the weather is anxious to change
  4. 반면에, Raising구문은 Subject에 theta-role을 부여하지 않는다
  5. (예시) John/ the weather seems to have changed

  1. 이번에는 Raising 구문에서 NP movement의 일반적 특징을 알아보겠다
  2. Raising Predicate의 종류를 살펴보겠다
  3. = be about to, be apt to, be bound to, be liable to, be going to, be (all) set to, chance to, graw to, prove to, threaten to, had better to
  4. 이런 동사는 non-referential there을 허용

  1. 이번에는 Small Clause의 Raising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2. (예시) Mary seems [SC --- keen on Bill]
  3. 여기서 'Mary' originates in the position marked --- as the Subject of the bracketed Small Clause Complement

  1. (예시 1) There seems [SC ---- likely [S ---- to be a strike]]
  2. (예시 2) The fur seems [SC ---- likely [S --- to fly]]
  3. 이 문장들은 Raising이 S와 SC 모두에서 일어나는 것이다
  4. (예시 1 설명) existential 'there' must originate as the Subject of 'be', and then be raised out of its containing S by NP movement to become Subject of 'likely', whence it is raised out of its containing SC by NP movement once more to become Subject of 'seems'

  1. 하지만 이 NP movement는 S-bar Complement의 주어로 인상되지는 못한다
  2. (예시) *John is impossible [S' for ---- to have done that]

  1. , Passive 하고 Raising은 NP movement의 다른 양상일 뿐인 것이다
  2. 이 관계를 더욱 친밀하게 해주는 것이, 이 둘 다 the derivation of typical 'be' passives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다
  3. 우선 be는 Raising Predicate이다
  4. (예시) There is [SC someone at the door]
  5. raising 하면Someone is [SC --- at the door]로 된다

  1. be동사의 raising을 passive 사용으로 확장시켜 보겠다
  2. (예시) Nobody will be arrested
  3. (1) [NP e] will be [SC [NP e] arrested nobody]
  4. (2) [NP e] will be [SC [NP nobody] arrested ---] (이때 NP movement를 통해 passivized)
  5. (3) [NP Nobody] will be [SC --- arrested ---] (이때 NP movement를 통해 raised)
  6. 즉, 'be' passives에는 Passive와 Raising이 모두 포함된 것이다

  1. Passive는 Raising 없이 일어날 수도 있다
  2. (예시) There will be [SC nobody arrested ---]

  1. Passive는 be동사 없이 쓰일 수도 있다
  2. (예시) They got [John thrown into jail]
  3. (예시) I need [my toe looking at by an experienced chiropodist]

 

 

Source: Transformational Grammar by Andrew Radford

반응형

'영어임용원서 > Transformational Gramm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pp. 462-471  (0) 2023.06.28
pp. 446-455  (0) 2023.06.28
pp. 426-435  (0) 2023.06.28
pp. 416-425  (0) 2023.06.28
pp. 406-415  (0) 2023.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