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대부분의 주어는 Predicate으로부터 theta-role을 받지만, 그렇지 않은 것들도 있다
- 이들은 nonthematic Subjects이다. = Subjects not assigned any theta-role at all by their Subjects
- 예를 들어, try는 thematic Subject를 지니지만, seem은 그러하지 않다
- 우리는 이를 Predicate에 의해 theta-role을 받는 Argument는 Predicate에 의해 또한 selectional constrained 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증명할 것이다
- try동사와 its Subject는 강한 selection restriction을 갖는다-> 왜냐하면 주어로 RATIONAL한 것만 요구해서
- 즉, 우리는 selection restriction이 Predicate과 theta-mark하는 요소 사이에서만 가능하다는 것을 기반으로 했을 때, Subject는 try동사에 의해서 theta-marked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하지만 seem동사와 its Subject 사이에는 no selection restriction이다
7.13 Selection Restriction and Thematic Structure
- 우리는 thematic structure와 selection restriction사이에 강한 관계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즉, Predicate와 given Argument 사이에 존재하는 selection restriction은 (1) Predicate의 의미, (2) Argument에 의해 수행된 theta-role에 의해서 결정되어지는 것이다. (=selection restriction이 redundant해지는 것)
- (예시 1) Mary/ ? my goldfish/! my birth thinks that John is very clever
- (예시 2) It strikes Mary/ ? my goldfish/! my birth that John is very clever
- (예시 3) John seems to Mary/ ? my goldfish/! my birth to be very clever
- 이 3가지 문장에서 Mary/ ? my goldfish/! my birth는 각기 다른 grammatical functions을 지닌다
- 하지만 어떻게 다 같은 selection restriction을 갖는가?
- 그 이유 (1) Cognitive Predicate의 Argument이기 때문이다. (2) 모두 Experiencer Argument를 갖기 때문이다.
- 그래서 우리는 semantic properties와 thematic properties가 합쳐져서Mary/? my goldfish/! my birth 이 중에서 RATIONAL entity만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 결국에 subcategorisation과 selectional information이 모두 제거될 수 있게 된다 (subcategorisation 제거는 7.11에서 살펴봄)
- 그러므로 lexical entries에 담게 되는 유일한 정보는 infomration about the theta-marking이다
7.14 Constraints on Theta-marking
- 이번 단원에서는 theta-roles이 categories에 어떻게 부여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 how many?--일단 2개 이상의 theta-role이 a given NP에 부여되는 것은 상상 불가
- 만약에 a Predicate가 두 개의 coreferential NPs를 갖고 있다면, 각각 다른 theta-role을 부여한다
- 즉, a given Predicate가 1개 이상의 Argument에게 똑같은 theta-role 주는 것 불가
- 즉 제외하는 경우는 (1) assignment of more than one theta-role ot a given Argument, (2) assginment of a given theta-role to more than one Argument
- 즉, 다음과 같은 결론 나온다
- <<THETA CRITERION>> 'Each Argument bears one and only one theta-role, and each theta-role is assigned to one and only one Argument'
- 이제 우리는 lexical entries를 subcategorisation정보뿐만 아니라 thematic 정보도 포함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아래의 Projection Principle을 수정해야만 함
- <<PROJECTION PRINCIPLE> Syntactic representations [i.e. syntactic structures] must be projected from the Lexicon, in that they observe the subcategorisation properties of lexical items. (기존 버전)
- 우리는 위 규칙을 수정해야만 하는데, c-seletion(subcategorisation)뿐만 아니라 s-selection(thematic) 특성 또한 포함시키기 위해서 말이다
- <<PROJECTION PRINCIPLE (revised)>> Syntactic representation must be projected from the Lexicon, in that they observe the lexical properties of the items they contain
- 즉 우리는 위의 원칙을 통해 lexical properties는 모든 관련된 contextual properties를 지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ubcategorisaion과 thematic properties 말이다
- 그래서 우리는 실제로 lexical properties를 categorial properties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좀 폭넓게 볼 수 있다
- 그리고 실제로 우리는 lexical properties를 categorial properties를 커버하는 것으로 확장해서 해석 가능--> 즉, 우리는 PROJECTION PRINCIPLE을 통해 왜 V가 N node아래 못 끼는지 설명 가능해진다
CH.8 Transformations
- 이번에는 우리가 S-structure 말고도D-structure (Deep structure)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 이 두 가지 structures는 movement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8.2. V movement
- modal 은 finite I에서 파생된다. 그리고 Finite I는 Tense(Past/Present)&Agreement를 취한다.
- 위와 같은 이유로 인해서, relevant Tesne and Agreement특징은 Modal에 표현된다
- (예시) John [does] [VP annoy me]
- modal 이 suffix '-es'가 붙으면서 does로 나타나게 됨
- 그런데 만약에 이러한 features를 받아줄 modal이 없다면?
- 이럴 때에는 VP의 V에 이러한 features들이 실현된다
- John annoys me
- annoy에 '-s' inflection이 실현된다
- 하지만 이는 어떻게 가능한 걸까?
- 첫 번째 가능안= Affix Movement
- =Tense/Agreement affixes which would normally be suffixed to the Modal in I end up suffixed to the leftmost V of VP
- 즉, I의 성질이 V로 이동해서 suffixed 되는 것
- 두 번째 가능안= V movement
- =the head V of VP moves into the empty I position by a rule of V movement
- 즉, V가 I로 이동해서 features를 얻는 것
- 그렇다면 이 둘 중 어느 것이 맞는가?
- 이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데, 왜냐하면 I와 V는 너무 근접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 그래서 둘 중 하나 선택하고 뭐 하고 하는 것은의미 없는 짓..... 어차피 결과는 똑같으니꼐
- 그래서 우리는 I와 V가 adjacent 하지 않은 언어를 살펴보자
- 그랬더니, V에서 I로 이동하더라
- 하지만 이게 English에서도 그러하다고 말하는 것은 시기상조
- 그래서 영어의 have/be동사를 활용하겠다
- have/be는 Aspectual Aux로 쓰일 때는 Specifiers of V에 위치하고, 다른 종류로 쓰일 때는 VP의 V에 위치한다
- 그런데 많은 학자들이 have/be가 사실은 모두 VP에서 파생되었다고 한다
- (예시) He has no money/ He has finished/ He is a fool/ He is working/ He was arrested
- 윗 문장들에서 have/be는 VP에서 파생되었다가-> VP에서 나가 I로 raised 된 것이다 (V movement)
- raised 되는 이동을 통해서, relevant Tense/Agreement 자질을 획득하게 되는 것
- 하지만 have/be의 finite form이 I로 간다는 증거가 어디 있는가?
- 첫 번째 증거= negation facts
- (예시) He [I may] not [VP have finished]
- 이 문장에서 may 다음에 & VP 전에 negative particle 'not'이 있다
- (예시) He has not finished
- 그런데 윗 문장에서는 'not'이 VP의 has 다음에 온다
Source: Transformational Grammar by Andrew Radford
반응형
'영어임용원서 > Transformational Gramm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pp. 416-425 (0) | 2023.06.28 |
---|---|
pp. 406-415 (0) | 2023.06.28 |
pp. 377-386 (0) | 2023.06.28 |
pp. 367-376 (0) | 2023.06.28 |
pp. 357-366 (0) | 2023.06.28 |